국내 대표 고랭지인 강릉 왕산면 대기리와 평창 대관령면 일대 주민들은 고랭지 배추 출하를 앞두고 폭염속에 가뭄이 이어지며 배추에 영양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배추 잎 끝이 마르는 병이 발생해 피해가 극심하다고 10일 밝혔다.
특히 왕산면 일대에는 고랭지 채소를 재배하는 195㏊ 가운데 감자 5㏊를 제외한 190㏊에 배추가 심어졌으나 최근 한 달이 넘도록 비가 내리지 않아 배추가 대부분 말라가고 있다. 더구나 고랭지 배추는 이달 말쯤 출하를 앞두고 있으나 병해충이 발생하면서 포전거래(밭떼기거래)를 한 상인들은 중도금과 잔금을 치르지 않아 피해가 고스란히 농업인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폭염도 고랭지 배추를 시들어 가게 하는 데 한몫하고 있다. 고랭지 채소재배단지인 왕산면은 평균 해발이 700~800m로 예년에는 여름철 평균기온이 20~26℃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30℃를 웃돌아 배추들이 오랜 가뭄과 폭염을 견디지 못해 타들어 가고 있다. 이희복(45) 왕산면 대기4리 이장은 “고랭지 배추 농사를 지어도 올해처럼 가뭄이 든 것은 처음이다.”며 “석 달이 지나도록 비가 100㎜도 내리지 않고 기온도 30℃를 웃돌고 있으니 배추가 모두 말라 죽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할 정도”라고 말했다.
강릉시 관계자는 “출하를 앞두고 가뭄이 지속돼 농가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고지대여서 스프링클러 시설도 갖추기 어려워 농민들이 한 해 농사를 모두 망치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강릉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