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시의 용역은 대안 마련보다는 주로 폐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에너지 절감과 환경개선 등 경차택시 출범 당시 취지를 망각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시 경차택시는 지난 2월24일 전국 처음으로 출범해 성남지역 택시업체 22곳에 1000㏄ 미만의 경차택시(기아차 모닝)를 1대씩 배치해 운행에 들어갔다. 기본요금 1800원에 주행요금은 187m당 100원으로, 중형택시(기본요금 2300원, 주행요금 144m당 100원)의 77.3% 수준으로 시범 운행 초기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택시회사에 내는 사납금에 큰 차이가 없는 데다 택시수익금은 크게 줄어 택시회사와 기사들 모두 운행을 외면하기 시작했다. 일부 택시회사들은 아예 경차택시를 운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정이 이렇자 주민들은 요금이 싼 경차택시를 타보려고 해도 구경조차 하기 힘든 상황이 돼 버렸다.
이 같은 사정은 이미 운행 초기부터 문제점으로 지적돼 특단의 조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지만 관할 자치단체나 정부의 지원책은 나오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경차택시 시범운행이 성공했다고 볼 수 없다.”며 “하지만 이를 시에서 직접 판단할 수 없어 용역을 발주해 결과가 나오는 12월 말 국토부와 행안부, 경기도와 협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윤상돈기자 yoons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