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등 북부 7개 시·군 480곳 설치 건의
경기도가 정부에 경기북부지역 7개 시·군 접경지 주민들을 위한 대피시설 480곳을 설치해 달라고 건의했다.도는 “경기 북부 접경지 주민 대피시설이 크게 부족하다.”며 “최근 열린 정부 주최 민방위 관련 회의에서 접경지 내 주민 대피시설 증설을 요청했다.”고 6일 밝혔다.
대피시설 추가 설치를 건의한 곳은 민통선 안 마을을 포함해 고양과 파주, 연천, 김포 등 접경지역 마을 단위 시설이다.
북부지역 주민 대피시설은 읍 단위 이상에만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을 중심으로 의무적으로 지정, 관리하도록 돼 있어 접경지 마을에는 주민 대피시설이 거의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이다.
도가 고양과 파주, 연천, 김포 등 4개 시·군의 대피시설을 점검한 결과 고양시는 수용 능력(3.3㎡당 4명)이 전체 시민 대비 321%(248곳), 파주시는 101%(101곳), 연천군은 127%(33곳), 김포시는 121%(170곳)로 숫자상 전 주민이 대피하고도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대피시설은 읍 단위 이상에만 지정돼 있어 먼 거리 농촌지역 주민들의 대피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도가 조사한 결과 민통선 내 주민 대피시설은 파주시가 3곳, 김포시가 5곳에 불과하고, 연천군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또 도청에 비상기획관 신설 및 군이 주둔하는 시·군에 대한 도 지원 확대 방안 등도 검토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비상상황 발생 시 민통선 안 마을 등 접경지 주민들이 가장 위험하지만 실제 대피시설은 거의 없는 실정”이라며 “이 지역에 대한 주민대피 시설이 조속히 설치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