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와 개발방식 등을 둘러싸고 여러 차례 우여곡절을 겪어온 새만금개발사업이 종합계획에 따라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기에 반기고 있다.
특히 새만금개발의 최종 밑그림에 전북도의 요구와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들이 대부분 반영된 점에 의미를 부여했다.
전북도가 그동안 20여 차례 가진 관계기관 회의에서 공항과 항만,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확충과 새만금개발 전담기구 설치, 구체적인 재원조달 방안 등을 꾸준히 요구했다.
종합개발계획에는 새만금 신항만의 선석 수가 4선석에서 18선석으로 확대됐다. 올 연말에 착공되는 새만금 신항은 2020년까지 2조 5000억원을 투입, 4선석을 우선 건설하고 2030년까지 18선석으로 확충된다.
논란이 많았던 새만금공항은 군산공항의 기존 시설을 활용, 국제선을 취항시키고 향후 국제공항을 신설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공항 신설에 대비해 활주로 용지를 6㎢ 확보했다.
새만금~군산 간 철도 21.7㎞의 복선화와 새만금 랜드마크 조성, 공동구와 전력구 설치 등도 전북도의 의견이 반영됐다. 새만금을 동서로 관통하는 2개 축의 도로를 4차로에서 6차로로 확대하고 애초 100㏊였던 국립수목원도 200㏊ 규모로 늘렸다.
그러나 새만금종합개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새만금 전담기구와 특별회계 신설 분야는 중앙부처와 설치 시기에 대한 의견이 달라서 구체화되지 못했다.
김완주 전북지사는 “새만금이 국내외 어떤 경제특구와 비교해도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국가적인 개발계획이 됐다.”면서 “사업이 잘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