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내 공원 이중 입장료 부담” vs “시설관리비·지역활성화 필요”
전남지역 일부 자치단체가 최근 유명 관광지 입장료 유료화를 실시하면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생태계 보호와 시설물 관리 차원에서 유료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일부에서는 관광객들에게 금전적인 부담을 줘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곡성군은 지난 1일부터 섬진강 기차마을에 성인 2000원, 4~12세는 1000원의 입장료를 받고 있다.
또 다음 달 1일부터는 기차마을 내의 장미공원에 대해 6월부터 두 달 동안과 10월 한 달간 성인 3000원, 4~12세는 2500원을 받기로 했다. 곡성군은 5월 한 달 동안 기차마을 입장료 수입이 1억원을 넘어 군 재정에 도움이 되자 장미공원 관리비 충당을 명목으로 입장료 징수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기차마을 입장료를 내고도 다시 기차마을 입장료보다 1000원이 더 비싼 공원 입장료를 물게 하는 것은 관광객들에게 이중 부담을 지우는 것이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담양군도 내달부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 길 관람을 1500~2000원으로 유료화했다.
신안군은 지난달부터 증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2000원의 입장료를 부과하면서 쓰레기를 되가져 오면 입장료의 절반을 반환해 주고 있다.
무안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