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도에 따르면 2009년 10월부터 농어촌 임신부의 산전 관리를 위해 시작한 ‘찾아가는 산부인과’가 시행 1년 7개월 만에 진료 횟수 3200회를 넘어섰다. 대상 지역은 산부인과 의원이 없는 의료 취약 지역 8개 군(군위, 의성,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이다. 산부인과 전문의, 간호사, 임상병리사 등 5명으로 구성된 ‘찾아가는 산부인과’는 그동안 이들 지역 임산부들에게 초음파 진단기, 심전도기 등 13가지 의료장비가 탑재된 특수 버스를 이용해 개원 산부인과 수준의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김정일 도 보건정책과장은 “안동의료원과의 협약 및 위탁을 통해 시작된 ‘찾아가는 산부인과’는 지금까지 관련 의료 서비스가 낙후된 지역의 임산부 3231명을 진료했다.”면서 “보다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1-07-2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