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완용 다람쥐 대부분 경기·강원도산
애완동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람쥐의 원산지는 대체로 경기도와 강원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다람쥐들은 지역에 따라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에 애완용 다람쥐를 버릴 경우 생태계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서울대 수의대 이항 교수팀은 유통되는 애완용 다람쥐 9마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8마리가 남한 북부(경기·강원) 개체군에 속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나머지 한 마리는 남부(전라·경남) 개체군이었다. 애완동물 판매점과 인터넷을 통해 폭넓게 거래되는 다람쥐의 출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것은 처음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동물 세포와 시스템’ 최근 호에 게재됐다.
교수팀은 해당 다람쥐들의 유전자를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에 등록된 러시아와 중국의 다람쥐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 유전적 특성이 전혀 다른 고유종으로 확인했다. 단, 다람쥐들이 자연 상태에서 직접 포획된 것인지, 포획한 다람쥐를 번식시킨 것인지는 파악할 수 없었다. 교수팀은 또 한국산 다람쥐가 ▲경기·강원 ▲충청 ▲전라·경남 등 3개 개체군으로 구성된 사실을 밝혀냈다.
이 교수는 “국내산 다람쥐도 출신 지역에 따라 유전적 성질이 다른 만큼 강원도에서 포획된 다람쥐를 부산 시민이 사서 애완용으로 키우다 버리면 남부지방 다람쥐 개체군의 고유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