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19일 현재 200대인 타슈를 내년 3월까지 1000대로 늘리면서 회원제를 도입해 1년권 3만원, 30일권 5000원, 7일권 3000원을 받고 비회원은 1000원권을 구입해 이용하도록 하는 유료화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게다가 하루에 1시간 이내에서 이용해야 하고 이를 초과하면 30분마다 500원의 추가 요금을 내야 한다.
하지만 2008년 10월부터 공공자전거 ‘누비자’ 4500여대를 운영 중인 경남 창원시는 회비가 1년권 2만원, 30일권 3000원, 7일권 2000원으로 대전보다 저렴하다. 무료 이용 시간도 2시간이다.
이달부터 공공자전거 ‘U-바이크’를 유료화한 전남 여수시도 1년권 2만원, 30일권 3000원에 불과하다. 2시간까지 탈 수 있고, 추가요금 부담이 없다.
전남 순천시와 부산시도 1년권 2만원, 30일권 3000원 등으로 지방에 있는 자치단체 공공자전거의 연회비는 최고 2만원 선을 넘지 않는다. 순천시 공공자전거 ‘온누리’는 최대 3시간까지 무료 이용이 가능해 시민들의 부담이 적은 편이다. 이 때문에 대전시는 타슈 유료화 이후 시민들의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의 경우 지난 3월 유료화한 서울시가 연회비 3만원, 경기 고양시가 6만원에 이르지만 고양시는 민간 회사가 자치단체의 도움을 받지 않고 시민 자전거를 운영해 이용 요금이 비쌀 수밖에 없는 구조다.
대전시는 내년 3월 타슈 운영 지역을 둔산·유성·대덕연구단지, 중구 태평동, 유성 송촌동, 동구 가오동, 도안 신도시 등 5개 권역으로 넓히는 데 필요한 예산으로 32억원을 확보했다. 이와 함께 유료화를 도입, 연간 운영비 14억원 중 6억여원을 충당한다는 구상이다. 타슈는 2009년 10월부터 둔산 신도시에서만 시범운영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시내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과 연계한 환승 할인, 이용거리 마일리지 적립 등 공공자전거를 이용하면 여러 가지 혜택이 있어 실질 요금은 연간 2만원도 안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