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시는 지금까지 보험 사기 혐의로 입건된 피의자가 지역 내 3개 병원의 병원장과 사무장 7명, 전·현직 보험설계사 72명, 주민 331명 등 모두 410명에 달한다고 6일 밝혔다. 여기에 주민 200여명이 추가 조사 뒤 사법 처리될 전망이어서 시 인구 100명 가운데 1명 이상이 범죄자가 된 셈이다. 주민들의 반응은 “부끄러워 떠나고 싶다.”는 자조와 “왜 우리만 비난을 받느냐.”는 항변이 뒤섞였다.
이모(30)씨는 “태백시민 모두 보험 범죄자로 낙인찍혀 곤혹스럽다.”면서 “가뜩이나 지역 경기도 어려운데 이미지까지 나빠져 걱정”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특히 주민 전체가 매도되고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김모(45·여)씨는 “이번에 연루된 몇몇 사람 때문에 태백시 전체가 보험 범죄 도시로 매도되는 것이 너무도 속상하고 부당하다.”고 말했다.
태백 주민들이 보험 사기의 유혹에 넘어간 건 지역 경기가 급속히 위축돼 주민들이 생활고에 시달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찰에 입건된 태백 주민의 83%는 무직이나 일용직 근로자로, 지난해 전국 보험 범죄의 무직·일용직 비율 26%보다 3배 이상 많았다.
김동혁 강원지방경찰청 수사 2계장은 “지역 경기가 어렵다 보니 경제적으로 안정된 40~50대조차도 보험 범죄의 유혹에 빠져들었다.”면서 “피의자의 76%가 여성이고 이 가운데 대부분이 40~60대 주부라는 점은 어려운 가정 경제에 노출된 주부들이 보험 사기의 유혹에 넘어갔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김연식 태백시장은 “폐광 지역의 경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데다 대형 보험 사기 사건까지 불거져 곤혹스럽다.”면서 “순박한 태백 주민 대다수가 불명예를 떨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태백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