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한 지리적 여건에도 도로·항만 등 인프라 부족
강원도가 세계물류의 흐름을 바꿔놓을 ‘북극항로’의 선점을 놓고 정부의 관심 밖으로 밀려나면서 한숨만 내쉬고 있다. 강원도는 23일 우리나라에서 유럽과 미국 동부를 잇는 최단거리의 북극항로가 열리면서 강원도가 지리적으로 유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지만 도로·항만 등 인프라 부족으로 정부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국토해양부가 부산에서 북극항로 활성화를 위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부산항을 북극항로의 거점으로 활용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위기감을 더하고 있다.
|
국토해양부와 영산대 글로벌 물류연구소는 이날 부산 누리마루에서 북극항로 활성화를 위한 국제 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에는 러시아 정부 관계자가 직접 방한해 러시아의 북극해 관련 정책을 소개하고, 러시아 해양연구소에서 북극항로 운항을 위한 외국선박의 기술적 요건 등 안전기준도 발표했다. 또 러시아의 원자력 쇄빙선 관계자도 참석해 쇄빙선 이용 현황과 향후 발전전망을 설명했다. 북극항로를 운항했던 노르웨이 해운사의 북극해 운항여건과 경제성 등을 분석한 운항사례도 소개됐다. 국토해양부는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북극항로 시범운항 지원 TF팀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국내 해운업계와 공동으로 북극항로를 시범운항하기로 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북극항로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해양부는 이날 세미나에서 북극항로의 장점을 설명하면서 부산~로테르담 간 북극항로 이용시 기존 인도양 항로를 이용할 때보다 운항거리 37%, 운항일수 10일이 단축된다는 논리를 주장하는 등 사실상 정부에서도 부산항을 북극항로의 거점으로 기정 사실화하고 나섰다.
부산시는 이미 지난해 1월 북극항로 개발을 준비하기 위해 산학 연관 전문가가 참여하는 상설협의체까지 구성하고 해운 및 항만물류, 조선, 에너지, 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및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부산에 견줘 강원도 내 무역항은 동해·속초·옥계·묵호·삼척 등 5개에 달하면서도 북극항로 개설에 맞춰 컨테이너 처리가 가능한 곳은 동해와 속초항뿐이다. 그나마 전용부두가 부족하고 하역비도 부산항에 비해 두 배 정도 높아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같은 인프라 부족으로 북극항로의 지리적 이점을 갖고 있으면서도 정부의 관심 밖에 놓여 있다.
춘천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