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억씩 지원해 첨단 시설 60개高 폐교… 마찰 전망
전남도교육청이 도내 고등학교의 교육경쟁력 제고 등 활로를 위해 전국 첫 거점형 고등학교 육성 사업을 추진한다. 고교 통폐합에 따른 지역 주민들과의 마찰이 예상되지만 전남 교육의 사활이 걸린 만큼 온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전남도교육청은 올 연말까지 거점고 육성 방안에 대한 세부계획을 확정,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핵심은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2~3개 고교를 선정해 2014년까지 각종 행·재정적으로 지원한다는 것이다. 추진 배경에는 매년 1만명 안팎의 학생이 줄어드는 현실에서 10년 후에는 학생이 없는 학교가 속출할 수 있다는 절박함이 배어 있다.
사실 현재도 학급을 제대로 유지할 수 없어 수준별 수업조차 못하는 고등학교가 적지 않다. 학생수 100명 이하의 소규모 학교도 초등학교 231곳을 비롯해 중·고교 각 121곳과 28곳 등 전체 45.7%(380개교)를 차지한다. 특히 고등학생 수는 현재 7만 2422명에서 2020년에는 4만 9967명으로 31%가 자연 감소하고 전출입 감소율까지 더하면 36.6%까지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지역의 문화와 전통을 살릴 수 있는 초등학교는 가급적 유지하되 고교는 평준화 지역을 제외한 농어촌 지역은 과감히 줄여 현재 160곳을 100개 안팎으로 재편할 계획이다. 교육 과정은 자율학교를 기본으로 수준별 교과교실제, 맞춤형 진학지도와 컨설팅 지원 등으로 이뤄지며, 수준별 방과후 학습 및 개별 학력관리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거점고에는 학교당 50억원을 지원해 잔디운동장, 다목적실, 체육관, 기숙사, 교직원 사택 등 최첨단 교육시설을 갖추도록 하며, 후생복지도 파격적으로 할 계획이다.
무안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