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 경산시는 2005년 10월 경산까지 2호선을 3.3㎞ 연장하는 대신 예산을 분담키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3개 지자체는 전체 사업비 2817억원 중 국비(60%)를 제외한 지방비 부담분 가운데 대구시가 20%, 경북도 10%, 경산시 10%씩을 내기로 했다. 도시철도의 운영 주체는 대구시이지만 연장구간의 대부분이 경산시에 있기 때문에 상생을 위해 공사비 분담에 합의한 것이었다.
경산은 역세권 개발 등 각종 개발사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또 경산이 주거 및 생활환경이 좋으면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싸기 때문에 대구 인근의 경산 유입도 점쳐지고 있다. 여기에다 경산 8만 7000여명의 대학생과 공단 내 1600여개 업체 근로자들의 등하교 및 출퇴근 불편이 해소된다.
특히 2호선 종착역에 위치한 영남대는 연장개통을 가장 반기고 있다. 영남대는 연장개통 당일 대학 내 천마아트센터에서 ‘YU & ME 소통콘서트’를 시작으로 연말까지 공연 스케줄을 잡아 놓고 있다. 대구대와 대구가톨릭대, 경일대, 경산1대 등 경산 하양지역 대학들도 연장개통에 한껏 고무돼 있다. 대구도시철도 1호선도 대구 안심에서 하양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구도시철도건설본부는 2호선 연장개통으로 하루 평균 승객이 3만 5000명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2호선 하루 이용객이 15만 7000여명인 점을 감안하면 20% 이상 늘어나는 것이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경산 연장구간 개통은 양 지역 간의 교통난 해소와 침체된 지역경기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