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새마을운동 이어 보건의료사업까지 추가
행정안전부는 19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보건복지부와 ODA 사업에 대한 업무협력 양해각서를 교환했다. 1960~70년대 개발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개발원조 국가로 변신하는 과정에서 새마을운동이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았고, 한국의 ODA 사업은 아예 ‘지구촌 새마을운동 사업’으로 특화됐다.
행안부는 지난해 2월 국제행정발전지원센터를 만들며 ODA 사업을 본격화했다. 지난해 11월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업무협력 협약을 맺고 공공행정 분야 개발협력 콘텐츠를 구축하며 컨설팅 사업을 시작했다. 올 1월에도 농림수산식품부와 맺은 업무협력 협약에서 개발도상국가들이 가장 간절하게 바라는 농업기술 개발, 농촌 발전에 대한 콘텐츠를 구축했다. 이어 4월에는 새마을운동 현지화를 위한 농업·농촌 개발 기술 및 교육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지구촌 새마을운동의 내용과 형식을 갖춰 나간 셈이다.
또한 이번 복지부와 맺은 업무 협약을 통해 모자보건, 전염병 퇴치, 식수 및 위생개선 등 보건의료 사업을 결합해 ODA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단순한 국가 단위의 외양적 경제개발만이 아닌 해당 국가 주민들의 건강한 삶의 질을 동반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복안에서다. 이를 위해 지구촌 새마을운동 현지화 사업에 보건의료 사업을 정책적으로 연계하고 상호 인력지원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초청연수 프로그램의 상호 지원과 활용, 개별적으로 갖고 있는 해외 네트워크를 공동 이용하고 정보수집 및 교환 등도 수시로 하는 것을 주내용으로 담고 있다.
맹형규 장관은 “새마을운동 현지화 사업에 복지의료사업을 결합함으로써 한국의 ODA 사업이 건강한 삶을 동반한 경제발전사업으로 정착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미얀마 지구촌 새마을운동사업도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ODA 사업과 별도로 전자정부를 앞세운 ‘행정 한류’ 확산도 함께 이뤄지고 있다. 이날 오후 맹 장관과 우즈베키스탄 가니예프 대외경제투자통상 장관은 ‘한·우즈베키스탄 국가정보화 협력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앞으로 국가정보화 분야 인적교류 및 공동연구, 정책 및 기술 지원 등의 협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2-09-2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