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 예비지정’ 강릉·동해 “연말 최종지정 박차”
■ 최명희 강릉시장“동계올림픽 개최와 함께 강릉의 지역경제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최명희강원 강릉시장은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대해 상대적으로 낙후됐던 강릉을 포함한 영동권이 환동해 경제권의 중심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반겼다.
옥계지구(1.07㎢)는 마그네슘과 티타늄, 지르코늄, 리튬 등의 비철금속소재를 바탕으로 한 첨단소재융합산업의 글로벌 연계망을 구축하게 된다. 최 시장은 “지척에 있는 옥계 1·2일반산업단지와 강릉과학산업단지가 서로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내면서 국가 경제의 주요 축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고 말했다.
인근에 포스코 측이 마그네슘 제련공장을 단계별로 진행 중이어서 연관산업부터 유치할 계획이다. 옥계지구 인근에는 동계올림픽 특구를 지정해 관광과 휴양지로 개발된다.
구정지구(1.11㎢)는 산업단지 형식이 아닌 경제자유구역에 투자하는 외국인들의 주거와 교육,문화,상업지구지로 개발해 글로벌 정주여건을 갖추게 된다. 그는 “구정지구는 녹색도시로 개발해 강릉이 갖고 있는 탄소제로 도시와 예향의 도시에 걸맞은 공간으로 꾸며 세계인들이 찾아 즐기고 머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 시장은 “열악한 사회간접자본(SOC)과 미흡한 제도 등으로 강릉 등 동해안권이 도약의 기회를 갖지 못했지만 이번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계기로 핵심 전략산업들이 발전의 선순환 고리를 찾는 계기가 되면서 지역경제가 살아나는 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강릉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 심규언 동해시장 대행
“동해항을 중심으로 북극항로를 포함해 ‘환동해권 교역 비즈니스 거점’으로 육성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심규언강원 동해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경제자유구역 예비 지정이 항만 물류거점 네트워크 조성과 첨단수출입 항만·물류기지 복합개발, 북방진출거점으로 새롭게 조명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있다.
심 권한대행은 “송정동 일대 4.61㎢ 넓이에 조성되는 국제복합산업(ICI)지구는 첨단부품산업과 물류비즈니스,국제복합업무를 볼 수 있게 만들어진다.”면서 “수도권에 비해 물류비용이 3분의 1로 단축되는 만큼 동해항을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한 물류 거점지로 조성하고 비철금속 육성을 위한 환동해 자원협력 네트워크 구축도 갖출 전망이다.”고 말했다. 원주~강릉복선전철과 동해선 철도가 연계되고 동해항~일본 사카이미나토~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항로를 통해 북방항로 개척을 위한 동해항 배후지역의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되면 환동해로 진출하는 해양 중심도시로 우뚝 자리 잡게 된다는 계산이다. 그는 또 “경량소재산업이 동해안에 집적되면 동해안권은 국내외 관련기업들이 찾는 글로벌 비철금속 소재부품 산업클러스터로 발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망상동 일대(1.82㎢)에는 사업비 1976억원이 투입돼 관광과 레저, 치유, 화훼수출이 결합된 신개념 복합관광모델의 망상 플로라시티도 조성된다.
심 권한대행은 “국제복합산업지구와 망상 플로라시티를 첨단 녹색소재산업과 청정자연과 연계해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동해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