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만㎡ 규모… 1200억 투입
화성시는 10일 부천·안양·평택·시흥·군포·의왕·과천시 등 8개 시장과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시청 대회의실에서 ‘화성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교환한다고 8일 밝혔다.
장사시설부지는 화성시로 정했으며 30만㎥ 규모의 후보지 공개모집과 타당성 조사용역을 거쳐 오는 9월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시는 2018년까지 1200억원을 들여 화장로 10기 내외, 장례식장, 봉안당, 자연장지 등의 장사시설을 설치한다. 총비용 가운데 220억원은 국비와 도비로 충당하고 나머지 비용은 8개 시가 나눠 부담한다. 2020년 인구증가에 따른 화장로 증설계획도 포함하기로 했다.
공동장사시설 설치는 경기지역 화장률이 2010년 73.8%, 2011년 77.5%로 매년 3∼4% 포인트씩 증가하고 있으나 시설은 수원과 성남, 지난 1월 개장한 용인 등 3곳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역주민들은 타지역 화장장을 20배까지 비싼 이용료를 지불하고 이용해야 해 불만이 늘고 있다. 성남시영생관리사업소 이용료는 지역주민이 5만원인 데 반해 지역외 주민은 100만원, 수원시연화장도 지역외 주민은 100만원(지역주민 10만원)으로 최고 20배가 비싸다. 인근 서울원지동추모공원과 인천가족공원도 11배 비싼 가격을 받고 있다. 특히 지역주민들에게 오전 시간을 우선 주는 바람에 지역외 주민은 경제적, 정신적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시는 장사시설 유치지역에 50억원 이내의 마을발전기금과 한시적으로 화장시설 수익금의 5∼10%를 기금으로 적립해 주기로 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