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마 유치환 선생의 문학 정신과 업적을 기리는 부산 동구 산복도로의 ‘유치환의 우체통’이 15일 개소식을 열었다. 개소식에는 정영석 동구청장, 정의화 국회의원 지역주민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
최초의 사진기 ‘옵티큐라’를 닮은 유치환의 우체통 건물. 이 건물은 산복도로의 풍경을 담아내는 전망대 공간으로 활용된다. 부산 동구 제공
|
|
유치환의 우체통은 산복도로를 한눈에 조망하는 안내센터이자 문화 커뮤니티 공간 역할을 하게 된다. 경남 통영 출신인 유치환 선생은 산복도로 초량에서 교직 생활을 하고 이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부산시는 한국 시 문학사에 큰 획을 그은 그의 문학적 업적과 예술성을 기리기 위해 산복도로 르네상스 1차 연도 사업(영주·초량 지역)으로 5억원을 투입해 지난해 10월부터 산복도로에 유치환의 우체통 건립을 추진했다.
동구 망양로 580번 길 2(초량동)에 전체면적 180㎡, 지상 2층 규모로 건립된 우체통 건물 1층은 야외공연장인 커뮤니티 마당으로 꾸며졌다. 시민의 방인 2층은 청마 선생 관련 자료 전시, 영상물 상영, 편지 쓰기, 소규모 강연 공간으로 활용된다. 옥상에는 북항과 영도 등 부산 앞바다의 절경을 조망할 수 있는 하늘 전망대가 들어섰다.
또 추억과 그리움이 있는 빨간 우체통이 설치됐다. 이 우체통에 편지를 넣으면 6개월 뒤 수취인에게 배달해 준다.
개관 기념행사로 우체통 2층 시인의 방에서 청마와 교분을 나눈 김봉진 원로 화백과 청마의 시가 어우러진 시화전이 열렸다. 동구는 유치환 선생이 주로 활동했던 경남여고~수정 가로공원 길을 ‘시인의 길’로 이름 붙이고 문화거리로 조성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3-05-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