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2월부터 관광객 통계 보완시스템 운영 시작
내년부터 지방자치단체의 관광객 수 뻥튀기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자료만을 인정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
현재 지자체가 발표하는 연간 관광객 수는 중복되고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다. 실제로 충북도의 경우 주요 유료·무료 관광지 280곳의 방문객 수를 이 시스템에 입력한 뒤 이를 모두 합해 연간 관광객 유치 실적을 발표한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론 과장될 수밖에 없다. 우선 280곳 가운데 무인계측기가 설치되거나 입장권을 발매하는 등 방문객 수를 신뢰할 수 있는 곳은 90여곳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평일과 주말 이틀 동안씩 현장에 나가 조사한 뒤 총방문객을 추산한다. 또 여러 관광지 입장객을 모두 합산하다 보니 1명이 5곳을 방문할 경우 관광객이 5명으로 늘어난다. 280곳 가운데 숙박업소인 50곳 이용자 수도 합산된다.
이런 이유로 문화관광연구원은 이 시스템을 활용해 관광지별 방문객 수만을 파악할 뿐 연간 지역별 방문객은 집계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자체들은 이를 합산해 발표하고 국비를 따내는 데도 활용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그동안 허수가 있던 것은 인정하면서도 정부 방침에 반발하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국비지원 없이 해수욕장 50여곳에 1000만원 내외의 무인계측기를 설치하려면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어야 한다”면서 “무인계측기를 곳곳에 설치해도 넓은 해수욕장을 모두 커버할 수 없어 실제 입장객보다 적은 인원이 통계로 잡힐 수 있다”고 걱정했다. 지자체들은 무인계측기 설치 시 국비 50%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지자체들이 신뢰할 수 없는 통계를 계속 활용해 어쩔 수 없이 정부가 나서게 된 것”이라면서 “추정했거나 중복 계산이 우려되는 관광객 집계는 인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확한 관광객 수를 파악하기 위해 관광지 주변의 휴대전화 기지국 이용자 가운데 외지인을 파악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