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최근 국내 북극 관련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북극 종합대응 기획단 회의를 열고 북극연구센터 설립 등에 대한 계획안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시는 북극해 시대를 대비해 지난 7월부터 정부, 대학, 연구기관, 관계기관 전문가로 구성된 북극 개발 3개 분야 실무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으며 지난달까지 자문과 워킹그룹 활동을 해왔다. 기획단은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해운·항만물류 ▲해양자원·에너지 개발 ▲수산자원 개발 등 4개 전략분야와 26개 세부 추진 계획을 확정했다.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분야로 내년 부산발전연구원에 북극전문연구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또 북극 연안국 청소년 위주로 원주민을 초청해 이들 국가와 우호 관계 증진을 꾀할 방침이다. 해운·항만물류 분야로는 부산항을 정부의 북극항로 시범 운항 기·종착항로 이용하도록 나설 예정이다.
이 밖에 ▲북극 자원 수송용 벌크선 및 화물유치 확대 ▲극지항해용 선박 수리 및 검사기능 확보 ▲선박연료유 및 선용품 공급 거점 기반 마련 등이 추진된다. 해양자원·에너지 개발 분야는 ▲북극해 주변의 해양자원 개발을 위한 시험인증 및 전문인력 양성 ▲해양플랜트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종합서비스 지원기지 조성 등이 추진되며 수산자원개발 분야는 ▲북극해 수산자원의 지속적 이용을 위한 국제공동연구 및 북극해 시험조업 ▲북극해 조업진출을 위한 어로 장비 개발 ▲원양어선의 현대화 등 6개 세부사업이 확정됐다.
시는 북극 정책 세부추진계획을 통해 정부의 북극 정책과 연계한 지역 핵심사업과 신규정책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발전과 청년 일자리 창출로 신해양산업을 선도해 나갈 예정이다. 시는 북극항로 상용화 시기를 예측하기 어렵고 북극환경 변화로 인한 정책 탄력성이 요구돼 기존 계획을 환경 변화에 따라 신축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민관합동 실무TF와 북극종합대응기획단을 상설 운영해 북극 환경변화에 따른 신규 과제 발굴과 기존 과제를 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