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욱 군위군수
“농촌 학생들도 돈 걱정 없이 공부해서 명문대학에 입학하고 성공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작정입니다.”특히 장 군수는 농촌의 교육복지 강화를 강조한다. 그는 “농촌지역 학부모들의 소득 수준이 도시에 비해 낮고 교육 여건 또한 상대적으로 열악해 도시로 유학을 떠나지 못한 자녀들은 각종 교육 기회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다”면서 “공교육으로 이를 극복해야 하지만 한계가 있고 정부가 해결해 줄 때까지 기다릴 수도 없어 지방정부 차원의 교육복지를 강화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고 했듯이 지자체와 교육 당국, 주민, 출향인 등이 힘과 지혜를 모아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교육복지를 강화하면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장 군수는 “학생들이 떠나는 농촌에서 돌아오는 농촌으로 탈바꿈했다”며 “2007년 이전까지만 해도 매년 고등학생 수가 20~40명 정도씩 감소했으나 이후 오히려 20~50명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강조했다. 인근 대구와 구미, 안동 등지에서 학생들이 전학을 오기 때문이다. 종전 학생 수 감소를 감안하면 연간 최대 100명 정도 증가한 셈이다.
또 장 군수는 “자녀 교육 때문에 대구 등 대도시로 떠나던 주민도 크게 줄었고 자금의 역외 유출 또한 눈에 띄게 감소했다”며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80% 정도가 사교육비 부담이 줄었다고 답했다”고 언급하면서 활짝 웃었다. 실제로 최근 4년간 군위군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40% 이상으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서울대 4명을 비롯해 고려대 3명, 경북대 13명, 부산대 10명 등 우수 대학 진학생도 50여명에 이른다.
마지막으로 장 군수는 “전국 최고의 교육복지 정책을 펼 수 있도록 장학기금 조성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준 데 대해 감사드린다. 모두가 긍지와 자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며 주민과 출향인들에게 고개 숙였다.
군위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4-02-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