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난 안산시 5월 개최 물 건너가… 10월로 미루고 시·군 공모 물색 중
안산시의회에서 시비 예산 7억원 전액을 삭감하는 바람에 안산 개최는 물 건너갔다. 안산시의회는 도가 재정난을 이유로 항공전을 격년제로 열겠다는 방침을 세우자 “도의 개최 의지가 없어 시책추진보전금을 시에 내려보낼지 장담할 수 없다”며 예산 전액을 삭감해 버렸다. 지난해의 경우 안산시에서 6억원, 도비 5억원과 경기도시책추진보전금 11억원 등 모두 22억원이 투입됐다.
도는 이에 따라 다른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추진하고 있으나 지자체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게다가 경기 북부지역의 경우 항공금지구역인 비무장지대( DMZ)와 가까워 행사 개최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도는 공군비행장이 있는 수원시와 항공레저 이착륙장이 있는 화성·평택시 등에 내심 기대를 걸고 있으나 이들이 선뜻 나서지 않아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시 재정이 넉넉지 않은 데다 시 외곽에 위치한 공군비행장에서 행사를 개최할 경우 유치 효과도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다른 지자체들도 “예산은 차치하고라도 행사를 개최할 만한 장소가 마땅치 않은 데다 있다고 해도 도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성공 개최를 장담할 수 없다”며 손사래를 치고 있다. 장소 물색에는 6월 지방선거가 큰 걸림돌이다. 자치단체들마다 선거를 통해 집행부가 바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적지 않은 예산이 투입되는 행사를 유치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선거가 끝난 뒤 새로운 단체장이 전임 단체장의 사업을 폐지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데다 바뀌는 의회 역시 설득이 쉽지 않아 공직자들이 총대를 메지 않으려 한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도는 당초 지난달 개최 장소를 결정할 계획이었으나 이 같은 이유로 늦어지고 있다. 도는 그동안 행사를 열어 온 안산시에서 마음을 되돌려 주기를 바라지만 이 역시 선거와 맞물려 있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도 관계자는 “예산 문제도 무시할 수는 없지만 행사를 개최하겠다는 단체장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한데 선뜻 나서는 곳이 없어 솔직히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지난해 5월 1~5일 닷새간 안산시 상록구 사동 시화호 인근 39만㎡에서 열린 제5회 경기안산항공전에는 51만 8000명의 관람객이 찾아 아시아 최대 규모의 체험형 항공축제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4-03-0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