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0억 투자 기술개발 연구원 설립
2일 전북도에 따르면 각종 소리를 첨단기술과 융합해 산업화하는 ‘한국 소리 창조 클러스터’ 구축에 나선다.
도가 소리 창조 산업에 나선 것은 음악 프로덕션 기술이나 관련 소프트웨어를 100% 수입하는 상황이어서 한국의 소리를 산업화할 경우 다양한 미래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의 자연·생활·음악·악기 등 다양한 소리를 스마트·디지털 기술과 융합해 음악, 영화, 애니메이션·캐릭터, 뮤지컬, 게임 등 5대 콘텐츠와 연계 발전시키겠다는 것이다.
이 사업은 5년간 총 2700억원을 투자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사업별로는 소리 전문 연구기관 설립과 운영에 650억원, 소리융합 원천기술 개발에 780억원, 지역특화 콘텐츠별 소리융합기술력 확보에 750억원, 창작 및 사업화 역량 강화에 520억원 등이다. 우선 과제는 소리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소리창조연구원을 설립하고 지역 특화 소리융합연구센터를 설립하는 것이다. 이어 영화, 게임 등 5대 콘텐츠별 소리융합기술을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한국적인 소리울림, 생동감 넘치는 소리 디자인, 가상 및 현실의 첨단악기 소리 융합, 전통음악과 월드뮤직 융합 등 소리융합 첨단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도는 세계 음성인식 시장이 최근 5년간 연평균 16.2% 성장한데다 스마트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가 터치기술에서 음성인식기술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 2017년에는 113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미정 도 문화예술과장은 “국내 소리 관련 연구는 소수 대학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일부 공연이나 게임분야에 편중돼 있으며 핵심기술 역시 국외 의존도가 매우 높다”면서 “첨단 소리 음향기술과 글로벌 콘텐츠 개발을 위해 전문기관을 설립하는 등 국가 차원의 선제 집중 투자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