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가치 국제비교’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8일 공개한 ‘자녀 가치 국제 비교’ 보고서에서 한국인이 생각하는 ‘자녀 가치’를 주요 8개국과 비교한 결과를 발표하고 출산율을 높이려면 국가가 자녀 양육 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녀에 대한 각 나라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연구팀은 한국을 비롯해 미국, 스웨덴, 중국, 영국, 일본, 독일, 대만, 프랑스 등 9개국 1만 8063명을 대상으로 2012년에 시행된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을 분석했다. 자녀 가치를 묻는 6가지 항목에 각 5점을 배점하고 공감도에 따라 점수를 매기게 한 결과 한국인은 ‘자녀는 부모의 기쁨이다’라는 항목에 꽤 높은 점수인 4.26점(9개국 평균 4.34)을 줬다. ‘자녀로 인해 부모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한다’는 항목에도 스웨덴(3.29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3.17점을 줬다.
그러나 ‘자녀는 부모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부정적인 항목에는 비교 대상 9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3.30점(평균 2.84)을, ‘자녀는 부모에게 경제적 부담이다’라는 항목에는 프랑스(3.84점), 대만(3.38점)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점수인 3.26점을 매겼다. ‘자녀는 부모의 경제활동 기회를 제한한다’는 항목은 3.25점으로 독일(3.29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연구를 진행한 김미숙 보사연 연구위원은 “한국은 긍정적 자녀 가치도 높고, 부정적 자녀 가치도 높은 양면적 특성을 보였다”며 “가족이 시간과 비용 부담을 덜고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지역사회 공동체가 함께 양육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7-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