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다음 글에 나타난 ‘그림:액자’의 관계와 가장 비슷한 것은?
2000년이 된 기념으로 ○○화랑에서 화가 200인의 작품 전시회를 개최했다. 큐레이터가 보내 준 카탈로그를 보고 전화로 김○○ 화백의 그림을 바로 예약했다. 큐레이터는 “작품이 작은데 병 속에 세 명이 들어가 있어 답답한 느낌이 들지 않느냐?”라고 했지만, 나는 내가 설정한 ‘가족’이라는 주제에 어울린다고 생각하여 구입하기로 했다. 전시회가 끝난 뒤 작품을 받아 보니 액자가 그림보다 훨씬 컸다. 이렇게 액자가 크니, 큐레이터의 걱정과는 달리 그림이 답답해 보이지는 않았다. 이것이 바로 ‘액자의 힘’이다. 내가 아는 어떤 애호가는 좋은 액자를 꾸준히 모은다. 갖고 있는 그림의 액자를 바꾸기 위해.
①유명 인사들의 사회적 성공은 어디에서 비롯되었을까. 그들은 그 요인으로 하나같이 좋은 습관을 든다.-‘성공:습관’
②나는 가끔 책을 장난감 블록처럼 다양하게 쌓아 본다. 책의 무거움, 진부함, 지루함을 해소하고, 즐겁고 유쾌하게 책을 재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책:장난감 블록’
③로댕은 돌을 바라봅니다. 그 안에서 손을 발견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손을 움직여 돌 속의 손을 끄집어내려고 합니다. 그러다 실패하지요. 실패했다고 포기하지 않고 로댕은 다시 새 돌을 꺼내 바라봅니다.-‘돌:손’
④인간은 단 몇 초 만에 상대방에 대한 호감도를 결정한다고 한다. 몇 초 만에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면, 내면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옷차림은 분명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내면:옷차림’
(정답)④
(문제)국어의 음운 현상에는 아래의 네 가지 유형이 있다. <보기>의 ㈎와 ㈏에 해당하는 음운 현상의 유형을 순서대로 고르면?
㉠XAY → XBY(대치)
㉡XAY →X∅Y(탈락)
㉢X∅Y → XAY(첨가)
㉣XABY → XCY(축약)
<보기> 솥+하고 → [솓하고] → [소타고]
㈎ ㈏
① ㉠, ㉡ ② ㉠, ㉣ ③ ㉡, ㉢ ④ ㉣, ㉡
(해설)‘솥’의 끝소리 ‘ㅌ’은 대표음 ‘ㄷ’으로 바뀌고[대치], 다시 ‘ㄷ’은 ‘ㅎ’과 결합[축약]하여 ‘ㅌ’으로 소리 난다.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이 기존 문제 유형과 다르다. 일반적으로 ‘음절 끝소리 규칙’만 공부하던 것을 ‘대치’로 접근해서 문법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의 이해를 묻고 도식을 이용해 그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에 적용하게 했다.
(정답)②
정찬흠 박문각 강남고시학원 강사
2015-07-0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