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 35%가 준비… 졸업 뒤 11개월 백수
김모(29·여)씨는 대학을 졸업하고 3년째 7·9급 공무원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대기업 입사시험에서 수십 차례나 낙방한 뒤 공무원시험에 뛰어들었지만 합격하기가 바늘구멍에 들어가기보다 어렵다. 주변 친구들만 봐도 경쟁자가 너무 많다. 가족들은 “행정고시 준비하느냐”고 핀잔을 준다. 하지만 나이를 먹으면서 기업에 취직하기는 더 힘들어졌다. 갈수록 공무원시험에서 발을 빼기가 어렵다. ‘청년 공시족’이 급증하고 있다. 계속된 저성장으로 대기업 등 민간 기업은 신입사원을 덜 뽑고, 젊은 층은 안정적인 일자리를 추구하는 경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
올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뽑기로 한 공무원이 2만 2000명인데, 10배에 이르는 22만명의 청년이 공무원시험에 매달리고 있는 셈이다. 반면 일반 기업체 취직을 준비하는 청년은 전체의 18.9%로 지난해보다 6.6% 포인트 줄었다. 취업문은 좁아지고 공무원시험 경쟁률은 높아지면서 청년들은 학교를 졸업하고 으레 1년쯤은 백수로 지낸다. 졸업 후 첫 직장을 갖는 데 걸리는 시간이 평균 11개월이다. 취직이 어려워 ‘하향 구직’에 나서다 보니 그만두는 것도 빠르다. 첫 직장 평균 근속 기간은 1년 6.4개월로 지난해보다 0.4개월 짧아졌다. 4년 연속 짧아지는 추세다. 주된 이유는 ‘보수·근로시간 등 근로 여건 불만족’(47.4%)이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07-2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