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당 628명… 전국평균의 3배
5일 시에 따르면 인구 98만여명인 시의 택시보유 대수는 1575대로 1대당 인구비율은 628명이다. 전국평균인 201명보다 3배 이상 많다. 인구가 20만여명 많은 인근 수원시의 4700대와 비교하면 33% 수준에 불과하다. 인구가 비슷한 성남시는 용인시보다 택시가 2배 이상 많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 가동률과 실차율(운행 택시의 탑승률) 등을 고려한 택시 사업구역별 총량제 지침에 따라 시의 적정 택시 대수를 1281대로 산정했다. 택시 가동률이 떨어지기 쉬운 도농복합도시의 특수성 등을 반영해 달라는 시의 거듭된 건의 끝에 국토부가 산정방식을 일부 변경해 지난달 시의 적정 대수는 1371대로 늘었지만, 여전히 204대를 줄여야 한다.
시는 1대당 인구비율을 전국 평균까지는 낮추지 못하더라도 2배 수준인 402명에는 맞춰야 택시 부족에 따른 주민 불편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려면 오히려 811대를 늘려야 한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용인지역 택시업계도 “지자체별 택시시장이 서로 다르고 특수성이 있는데 감차 숫자에만 매달려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해서는 안 된다”며 정부의 방침에 불만을 표시했다. 일부 지역에선 감차를 앞두고 택시 면허값이 오르는 부작용도 겪는다고 한다.
시는 이달 안에 일단 택시운수사업자 등과 함께 택시감차위원회를 꾸리지만, 국토부에 1대당 인구비율을 고려해 달라는 건의를 재차 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의 택시는 인구 139명당 1대”라며 “인구 대비 택시 공급 대수를 고려해 달라고 국토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주민 불편을 줄이겠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