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첨단소재 실리콘밸리 조성
전북연구개발특구가 12일 공식 출범했다. 전국에서 다섯 번째이고 도 단위에서는 처음이다.
|
|
| 11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전북연구개발특구 출범식에서 최양희(왼쪽 두 번째)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송하진(세 번째) 전북지사, 김광수(네 번째) 전북도의회 의장 등이 축하 손뼉을 치고 있다.전북도 제공
|
|
|
미래창조과학부와 전북도는 이날 전북도청에서 ‘전북테크포럼 및 전북연구개발특구 출범식’을 가졌다. 출범식에는 최양희 미래부 장관, 송하진 전북지사, 유성엽·이상직 국회의원을 비롯해 산·학·연 유관기관장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도는 출범식과 함께 ‘농생명·첨단소재산업의 세계 일류 융복합 지식허브’를 비전으로 선포했다. 농생명·탄소 등 첨단소재산업의 실리콘밸리를 조성한다는 청사진이다. 출범식과 함께 ㈜신드론, ㈜카이바이오텍, ㈜금강ENG 등 3개 연구소 기업도 지정했다.
최양희 장관은 기념사에서 “전북특구는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전북 지역경제 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지역인재 양성, 기술사업화를 위한 산·학·연 협력을 당부했다. 송하진 지사도 “전북연구개발특구는 농생명과 탄소산업에 새로운 산업혁명을 일으킬 것이며 정체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 생동하는 전북을 만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덕특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10개의 국립 및 정부출연연구소를 보유한 전북연구개발특구 조성이 완료되면 생산 유발 7조원, 고용 유발 2만명, 신규 기업 300개 집적화와 전북지역 산업구조 고도화 등의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5-11-1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