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3년 차 조석 사장
“국민신뢰 회복을 위해 2014년부터 기업 문화의 DNA라 할 수 있는 핵심가치를 ´신뢰´로 재정립했습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깨끗한 정도를 걷는다는 뜻입니다.”2012년 말 초유의 원전 비리 사태가 터졌다. 이 일로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구속됐고, ‘원전 마피아’라는 신조어까지 탄생했다. 조직의 신뢰는 곤두박질쳤다. ‘누가 앉아도 욕먹는 자리’라는 한수원의 수장. 조석 현 사장은 극구 손을 내젓다 대표 자리를 받아들였다.
올해로 취임 2주년을 넘긴 조 사장은 "한수원은 24기의 원자력발전소, 37기의 수력과 양수 발전소를 운영하며 국내외 8기의 원전을 건설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전력생산 기업”이라면서 “대규모 발전설비를 건설·운영하는 회사이다 보니 현장중심으로 생각하고 업무처리를 신중하게 하자는 정신이 업무 문화 저변에 깔려 있다”고 말했다.
취임 후 조 사장이 조직을 위해 가장 많이 신경 쓴 건 ‘재건’이었다. 조직 내부는 물론 국민들의 인식 변화를 위해선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했다. 조 사장은 우선 현장을 중시했다. 발로 뛰며 내부 기강을 바로잡았고, 특히 국민을 위해 원전을 안전하게 운영해야 한다는 사명을 임직원 개개인들에게 강조했다.
전북 익산 출생인 조 사장은 2013년 9월 7대 한수원 사장으로 부임했다. 1981년 행시 25회 출신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원전기획단장, 에너지정책기획관, 산업경제정책관, 성장동력실장, 2차관 등을 지낸 ‘에너지부문통’이다. 특히 그는 2004년 원전사업기획단장 재직 당시 19년간 해결되지 않았던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부지 선정을 위해 최초로 주민투표 방식을 도입하는 등 적극성을 보였고 이를 계기로 2006년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지난 10월에는 세계 원자력계를 대표하는 양대 기구 중 하나인 세계원전사업자협회(WANO) 회장직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전주고와 서울대 외교학과를 나왔고 미국 미주리주립대에서 경제학 석사, 경희대에서 경제학 박사를 받았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11-1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