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대 최남선의 ‘신문관’과 천도교 ‘보성사’는 대한제국의 지성을 이끈 출판·인쇄계 양대 기관이다. 한국 출판문화를 꽃피운 전당인 이곳은 1919년 3·1운동을 앞두고 독립선언서 원고를 인쇄했다는 점에서 한국사에 또 다른 의미를 남긴다. 1919년 2월 27일 밤 두 곳에서 찍은 독립선언서는 2만 1000여장에 이른다. 그러나 현재는 거의 볼 수 없어 가치가 더 높다.
서울시는 3·1독립선언서 중 개인이 소장한 보성사판에 대해 문화재청에 등록문화재 신청을 했다고 17일 밝혔다. 등록문화재 등록이 확정되면 독립선언서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는 첫 사례가 된다.
보성사판이 신문관판과 다른 부분은 판형, 활자체와 첫 줄에 ‘我鮮朝’(아조선)이라고 된 표기 오류다. 보성사판 중 공개된 것은 독립기념관, 서울역사박물관, 독립운동가 오세창과 박종화 가문의 소장본 등 5점이다.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2016-02-1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