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자연무용단-검의노래’는 1991년 세상을 떠난 고 한진옥 선생의 호남검무와 전통춤을 계승·보전하고, 예술혼을 다시 한번 되새겨보는 계기를 마련됐다. 고 한진옥 선생의 조카로 서울시무형문화재 제39호 박종선류아쟁산조 보유자인 박종선 선생과 국립국악관현악단 단원으로 구성된 삼현육각 연주에 어우러진 한국전통무용 공연이다.
특히 다른 지역 검무와는 다르게 춤사위가 섬세하고 장엄하며 기교가 화려한 특색을 갖춘 호남 유일 검무의 맥을 잇고 있다는 특징이 부각된다. 타 지역의 경우 통영검무, 진주검무, 혜주검무, 경기검무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돼 계승·보전되고 있는 반면 호남검무는 고 한진옥 선생 제자인 김자연 선생과 그의 제자들에 의해 명맥만 겨우 이어오고 있다.
김자연무용단은 1991년 창립해 1995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 전야제 축하공연과 1998년 밀양에서 개최한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광주시 대표로 출전했다. 2001년 월드컵 홍보를 위한 미국 텍사스주 호남검무 순회공연, 2010년 창원야철국악제 호남검무 종합대상(국회의장상) 수상, 2016년 신년 맞이 나주 인문학콘서트 호남검무 축하공연, 여수진남국악대전 초청 공연 등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김자연 무용단장은 “한국전통무용은 삼라만상의 모든 희로애락을 맛과 멋의 춤사위로 흡수해 내는 예술성이 내재해 있다”며 “우리 민족이 오래도록 가슴 속에 간직해온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하는 춤이다”고 말했다.
광주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