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원 조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근로자 교육훈련 투자 규모를 비교한 결과 대기업이 장기적 관점의 교육훈련 투자에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비용을 투입해 근로자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보다 경력직을 채용해 이윤을 높이는 게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9일 황성수·정지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의 ‘우리나라 기업의 교육훈련투자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273개 기업의 직원 1인당 평균 연간 교육훈련비는 2001년 16만 2000원에서 2006년 32만 1000원으로 두 배 가까운 수준으로 급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9년에는 25만 5000원으로 감소한 뒤 2013년에는 다시 30만원으로 회복됐다.
300인 이상 대기업은 중소기업과 비교해 교육훈련비가 많았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경영 상황과 무관하게 꾸준히 교육훈련비를 늘린 반면 대기업은 단기 여건에 따라 투자비가 들쑥날쑥했다. 실제로 중소기업 교육훈련비는 2001년 직원 1인당 평균 13만 3000원에서 2006년 20만 8000원으로 오른 데 이어 금융위기 때 소폭 감소했지만 2013년 24만 8000원으로 올랐다. 대기업은 2001년 18만 4000원에서 2006년 40만 5000원으로 올랐다가 2009년 30만원으로 급감했고 2011년 35만원을 넘어섰다가 2013년 33만 6000원이 됐다.
연구팀은 “기업의 교육훈련투자는 근시안적이며 외부 환경에 대한 대응이 주를 이룬다”며 “특히 대기업은 경기변동에 따라 즉각적으로 교육훈련투자를 줄였는데, 이는 중소기업이나 경쟁기업의 경력직 근로자 채용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근시안적 대책은 결국 기업에 부정적 영향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정부가 파급 효과를 고려해 문제를 상쇄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8-1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