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17개 상권 빅데이터 분석자료 소상공인지원센터 지점서 배부
경기도가 음식점 창업이나 업종 변경을 고민하는 소상공인을 위해 맞춤형 상권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주요 도심지의 상권을 계량화된 수치로 표현해 예비창업자 등은 고객이 선호하는 업종, 구매력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창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도는 2013년 7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내국인 KB카드 매출 5억 2300여만건과 KT가 보유한 유동인구 데이터 1억 2400여만건, 경기관광공사의 주요 관광지 현황, 행정자치부 행정구역 자료 등 5개 기관이 보유한 10종 7억 4000여만건의 빅데이터로 도내 5517개 상권을 분석한 자료를 소상공인들에게 제공하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분석 자료에는 각 상권 10대 음식업종별 ▲성장성(매출 성장과 감소세) ▲안정성(경쟁 점포 수와 운영 기간 등) ▲고객구매력(1인 평균 구입액) ▲업종별·지역별 고객선호도 ▲집객력(주변 관광지나 명소 등 고객을 끌어모으는 상권 특성)을 담았다.
10대 음식업종은 주점, 중식, 분식, 치킨, 일식, 커피, 패스트푸드, 제과, 양식, 한식이다. 도는 이외에 고객 특성, 유동인구 특성, 평균 공시지가, 점포당 매출액, 주요 매출 시점 등 상권별 자세한 현황도 제공할 계획이다. 제과점 등을 개설하려는 소상공인은 여러 지역의 성장성과 안정성, 매출증감률, 고객구매력, 경쟁 점포 수 등 다양한 자료를 비교하며 최적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같은 자료를 통해 분석한 일산 라페스타 상권은 고객선호도는 1등급이고 집객력 수준도 상으로 나타났지만 안정성과 고객 구매력은 5등급, 6등급으로 낮았다. 인근 풍동 애니골 상권의 사정은 달랐다. 고객구매력은 1등급이었지만 성장성과 고객선호도는 7등급이었다. 상권의 매출액, 위치, 점포 수 변동, 음식 단가 등에서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박종서 빅데이터 담당관은 “해당 상권과 업종 선정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는 물론 다른 상권과 비교도 가능한 지표를 제공해 소상공인의 창업 실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