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 상위 지역은 강원, 대전, 서울, 전북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의사결정(40.0점)뿐만 아니라 교육·직업훈련(96.0점)과 보건(99.0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중상위 지역은 광주, 부산, 대구, 제주가 선정됐다. 이 중 제주는 경제활동(77.5점)과 복지(92.9점)에서 최고점을 받았으나 나머지 영역에서 중하위권을 차지해 전년도에 비해 한 단계 하락했다. 중하위 지역엔 경기, 경남, 인천, 충북이 포함됐다.
성평등 하위 지역으로 꼽힌 경북과 울산, 전남, 충남 중 경북은 세부 항목 중 의사결정(20.5점)과 복지(81.0점)에서 최하점을 받았다. 울산은 경제활동(59.9점)과 보건(95.0점)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건정 여성정책국장은 “낮은 점수를 받은 지역은 여가부로부터 성평등 컨설팅을 받을 수 있으며, 정책 수립에도 이번 지표를 참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가부는 내년에는 남녀 차이가 거의 없는 측정 지표인 ‘셋째아 이상 출생 성비’, ‘고등교육기관 진학률 성비’ 등을 삭제하고, 새로운 지표를 생성해 활용할 방침이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