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기관 42곳 토론훈련 등 불참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조치로 잔반 사료가 금지되며 도산 위기에 처한 잔반 사용 농민들이 2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농식품부 앞에서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며 돼지들과 함께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2019.10.21 연합뉴스 |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8일부터 닷새간 실시되는 ‘2019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에 당초 참여하기로 했던 지자체 등 42곳이 일부 또는 전체 훈련에 불참한다.
지자체 27곳이 토론·현장훈련 모두 불참하고, 지자체 12곳과 공공기관 3곳은 토론훈련만 한다. 경기 파주·연천, 강원 철원 등 대부분의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ASF와 태풍 피해를 입은 곳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훈련 준비 인력이 ASF 대응, 태풍 피해 복구에 투입된 데다 이미 경기 지역 대부분이 축제를 취소·연기하고 방역에 집중하고 있어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안전한국훈련은 국가의 재난대응 역량을 높이고 선진형 재난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2005년부터 매년 실시해 온 전국 단위 종합훈련이다. 2005년부터 10년간 매년 4~5월쯤 3일간 실시하다가 현장훈련 강화를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5일간, 지난해에는 시범훈련을 도입해 2주간(시범훈련 1주, 본훈련 1주) 진행했다. 올해 시범훈련은 지난달 30일 시작해 지난 4일 마무리됐다.
행안부 관계자는 “ASF 대응과 태풍 피해 복구 등 실제 재난대응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안전한국훈련도 내실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9-10-2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