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경북도교육청에 따르면 학교 통폐합이 시작된 1987년 이래 경북지역 전체 폐교 수는 지난달 기준으로 모두 726곳이다.
그동안 475곳이 팔렸지만, 나머지 251곳은 도교육청이 보유 중이다.
특히 영천 9곳, 김천 8곳, 경주·의성 각각 6곳 등 모두 65곳은 활용방안을 찾지 못해 10년 이상 방치돼 있다.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가운데 가장 많다.
이처럼 폐교 수가 유난히 많은 점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지적받기도 했다.
하지만 도교육청은 이렇다 할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폐교가 흉물로 전락된 데다 사고우려, 유지관리비마저 계속해서 드는 등 문제가 양산되고 있다.
특히 최저임금이 2017년 6470원에서 2018년 7530원, 올해 8350원으로 잇달아 상승하면서 폐교 곳당 연간 관리비가 150만원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현재 ‘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교육과 문화사업 등을 위해서만 폐교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제한해 활용을 어렵게 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귀농·귀촌 정책을 추진 중인 일부 지자체가 폐교를 귀농·귀촌 지원시설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실제로 지자체가 지금까지 폐교 35곳(2017년 9곳, 지난해 12곳, 올해 14곳)을 매입하는 등 점차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앞으로 지자체 상대 매각을 활발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