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대기 감시하는 정지궤도 위성…미세먼지 등 13개국 물질 20여 종 관측
정부는 동아시아 미세먼지 흐름을 관찰할 수 있는 세계 최초 정지궤도(고도 3만 6000㎞) 환경 감시 전용 위성인 ‘천리안위성 2B호’(정지궤도복합위성 2B호) 발사를 위한 운송작업을 시작했다고 5일 밝혔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천리안위성 2B호를 무진동 항온항습 컨테이너에 실어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옮긴 뒤 항공운송으로 남아메리카 대륙에 있는 프랑스령 기아나로 보낸다. 6일 기아나 우주센터에 도착하면 상태 점검과 연료 주입, 발사체 결합 등 준비 과정을 거쳐 다음달 19일(한국시간) 오전 7시 14분쯤 아리안스페이스사의 아리안5 발사체에 실어 발사할 예정이다. 발사 뒤 한 달쯤 지나 위성이 정지궤도에 안착하면 10월부터 본격 활동을 시작한다.
천리안위성 2B호는 2018년 12월에 발사한 기상관측용 천리안위성 2A호의 쌍둥이 위성이다. 한반도 해역의 적조, 녹조, 유류 유출 등 26종의 정보를 실시간 관측할 수 있는 해양탑재체를 장착했다. 대기 중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등 미세먼지 유발 물질, 오존 등 20여 종을 관측할 수 있는 환경탑재체도 있다. 특히 환경탑재체는 관측범위가 동쪽 일본부터 인도네시아 북부, 몽골 남부까지 이르는 동아시아 지역 13개 국가를 포괄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전 세계 대기환경 감시 전용 위성은 저지구 궤도용(고도 700~1000㎞)으로만 운용해 왔으며, 정지궤도 위성은 천리안위성 2B호가 세계 최초다. 미국은 2022년, 유럽은 2023년 이후 발사할 예정이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0-01-0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