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50개 부처와 17개 시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가운데 바로톡에 가입한 비율은 47.2%로 절반이 채 안됐다.
각 부처의 바로톡 가입률을 보면 국가인권위원회가 0.8%로 가장 낮았고, 방위산업청 1.4%, 대검찰청 6.7%, 국가정보원 7.1% 등이었다. 지자체 중에서는 서울시가 11.2%로 가장 낮았다. 바로톡 제도를 총괄하는 행정안전부만 100.5%로 이례적으로 높은 가입율을 보였고, 울산(80.9%), 대구(79.4%), 제주(74%), 세종(73.7%) 등이 높은 가입률을 기록했다.
가입률보다 더 심각한 것은 이용하는 사람이 너무 적다는 점이다. 바로톡 가입만 해놓고 실제 이용은 카카오톡인 공무원이 대부분이다. 공무원들끼리 “카톡으로 자료 보내달라”는 말을 일상용어처럼 사용하는 실정이다. 한 공무원은 “바로톡은 솔직히 불편해서 안쓰게 된다. 메신저라는 게 여러 사람이 쓰는 걸 함께 쓰게 되는 경향이 있지 않느냐”고 털어놨다.
2015년 도입 이후 가입율을 제공하기 위해 전 중앙부처 및 지자체에게 공문서를 34회 발신하는 등 사용을 독려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한 의원은 “바로톡에 매년 4억여원의 예산이 유지보수비용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실제 공무원 가입률이 절반도 되지 못한다”면서 “이용률 또한 현저하게 낮을 것으로 예상돼 사실상 유명무실한 제도”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이 제도를 계속 운영해 나가야 할지 여부에 대해 판단해야 마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