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주민 설득 ‘골머리’
사유지주들 “합당한 보상 먼저”
찬성 주민들 “지역 발전의 초석”
대구시와 경북도는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이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여 지역 경제에 보탬이 된다고 보지만 국립공원 지정을 반대하는 주민을 설득할 마땅한 방안이 없어 고심하고 있다.
우선 팔공산 도립공원의 54%를 가진 사유지주 2500여명은 합당한 보상 없이 승격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최성덕 팔공산국립공원 반대대책위원장은 “도립공원 지정 이후 40년 동안 재산권 행사를 하지 못했다”면서 “팔공산 순환도로와 접한 땅을 공원 지역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주 소유 땅을 일반관리지역으로 풀어 자유롭게 이용하고 거래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대 측은 또 각종 행사 때 교통체증이 심각하다는 점을 들어 추가 도로 개설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찬성 측은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이 지역 발전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대구시와 환경부는 보전 가치가 떨어지는 땅을 공원 지역에서 제외하고 국립공원 내 사유지를 사들여 재산권 침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이 역시 해제 범위와 보상가를 두고 양측의 이해가 엇갈릴 것으로 보여 국립공원 지정에 진통이 예상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시도가 관리하든 국가가 관리하든 관리 주체의 차이일 뿐 규제 강도는 똑같다”며 “국립공원으로 관리체계를 일원화하면 팔공산을 좀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구 김상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