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수온 상승으로 서식지 북상
군산 최근 홍어 주산지로 떠올라
새달 총허용어획량 서해 전역 적용
배정량 따라 주산지 명성 바뀔 수도
전남 “첫 배정 전북은 처음엔 적게”
전북 “최근 3년 평균 어획량 이상을”
12일 해수부에 따르면 전북도가 올해부터 새롭게 홍어 TAC 적용을 받는다. 전북은 최근 3년 연간 어획량이 1000t을 넘기 때문에 적어도 평균 어획량 이상을 배정받아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전남도, 신안군, 흑산도 어민들은 “전북은 올해부터 TAC가 적용되는 만큼 처음에 많은 물량을 배정하면 안 된다”고 주장한다. 전북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TAC가 배정될 경우 국내 홍어 주산지가 공식적으로 바뀌게 돼 흑산도 홍어의 명성이 퇴색할 것을 우려하는 까닭이다.
해수부가 서해 전역에 참홍어 TAC를 적용하기로 결정한 배경도 흑산도 어민들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흑산도 어민들은 “홍어는 다른 어종보다 산란량이 적어 TAC 적용을 받지 않는 전북이 마구잡이 조업을 하면 홍어 씨가 마를 수 있다”고 호소했고, 정부가 이를 받아들였다.
이에 전북도와 군산시 어민들은 “흑산도가 명성을 억지로 유지하기 위해 전북의 TAC를 조절하려 한다”며 발끈하고 나섰다. 군산 어청도 해역이 이미 홍어 최대 주산지가 됐는데, 흑산도 시장을 지키기 위해 전북 TAC를 낮추라고 하는 것은 지역이기주의라는 것이다.
군산 해역에서 홍어가 많이 잡히는 이유는 서해 수온이 상승해 냉수성 어종인 홍어 서식지가 북상했기 때문이다. 흑산도는 2016년부터 TAC가 적용됐지만, 전북은 제외돼 금어기(6월 1일~7월 15일) 외에는 무제한 어획이 가능했던 것도 군산 홍어 위판이 증가한 주요 원인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홍어 잡이에 제약이 생겼지만, 공급이 줄어드는 만큼 어업인 소득에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군산 임송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