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균형발전본부에서 추진하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의 시범사업인 ‘다동공원 조성사업’에 대해 “공공 선투자 후회수 방식의 사업은 초기에 큰 투자가 요구되고, 공원 조성 이후에는 투자금 회수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동공원은 무교·다동 재개발구역 내 정비기반시설로, 구역 내 여러 개 사업지구의 재개발 추진 시 기부채납으로 공원 부지를 확보해 조성할 예정이었지만, 1973년 구역 지정 이후 현재까지 공원부지의 80%만 소유권을 확보하는 데 그쳐 장기간 공원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구역 내 장기 미집행 되어있는 정비기반시설을 공공재정 투자로 우선 조성하고 투자 비용은 향후 민간사업 시행자에게 현금 기부채납으로 회수하는 공공 선투자 후회수 방식의 시범사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에 여장권 균형발전본부장은 “향후 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 추진 시, 선투자했던 비용을 토지보상 면적으로 환산해 해당 면적만큼 현금 기부채납을 통해 회수할 수 있도록 면밀하게 계획을 수립하겠다”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