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승·출입구·승강장 표지 통일
시야 방해하는 시설물도 정비
지하철 역사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환승 등에서 혼선을 겪지 않도록 서울 지하철 안내표지판에 대한 전면적인 개선이 이뤄질 전망이다. 안내표지판의 통일성과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이같은 전면 개선은 2013년 이후 처음이다.
26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교통공사는 서울지하철 1~8호선 역사의 환승과 출입구, 승강장 방향 등의 안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지하철 안내사인 개선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가 관할하는 지하철 역사는 전체 276개로, 역명 안내와 노선도, 환승·출입구 방향 안내 등 약 21만 1000여개의 안내표지판이 설치돼 있다.
현재 지하철 역사들은 내부 구조와 환승 방식이 각각 다르다 보니 시민들이 지하철 환승시 혼돈을 겪곤 한다. 특히 환승역에서 상·하행 동선이 별도로 구분돼 있는 경우 환승분기점에서 방향을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안내체계가 자주 바뀌거나 지하철 역사마다 표지판이 다른 사례도 적지 않다. 서울지하철 안내체계는 1999년 이후 5차례 변경된 바 있다.
표지판 개선의 기본 방향은 안내사인이 어디서든, 한눈에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방향유도표지판의 설치 간격을 조정하고 환승과 출구, 편의시설 안내 표지가 한눈에 보일 수 있도록 보조안내표지판을 통합한다. 동선이 나뉘는 분기점에 대형 보조 안내판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안내게시판 시야를 방해하는 역사 내 시설물에 대한 정비도 이뤄진다.
이번 개선을 위해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전체 안내표지판을 전수조사하고 시민 의견도 수렴한다. 우선 7월부터 연말까지 73개 환승역부터 전수조사하고 나머지 역사는 내년에 조사할 계획이다.
한편 시는 앞서 민선 4~5기 디자인서울 정책에 따라 지하철 정거장 환경디자인 가이드라인과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에 따라 지하철 안내표지판의 색상과 형태, 서체 등을 모두 개선했다.
안석·유규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