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로·잔디마당·테마정원 조성
인접한 초등학교 통학로도 개선
사유지 협의 통해 104억원 아껴
서울 강남구가 지난 4일 문을 연 광평공원에 위치한 필경재의 모습. 광평공원에는 세종대왕의 아들 광평대군 이여의 종가 건물이 아직 남아 있다. 오른쪽은 강남구가 광평공원 개방에 맞춰 정비한 왕북초 인근 통학로 모습. 강남구 제공 |
서울 강남구가 민관 협력을 통해 구민들의 오랜 숙원이었던 일원동 광평공원 문을 600년만에 열었다. 특히 광평공원 개방에 맞춰 주변 왕북초등학교 통학로 개선 작업도 완료했다. 힐링과 어린이 안전을 한 번에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남구는 일원동 189번지 광수산 일대 2만 2662㎡ 규모의 광평공원 조성 사업을 완료하고 4일 본격적인 개방에 들어갔다고 7일 밝혔다. 일원동~수서동 일대에 걸쳐 있는 광수산은 세종대왕의 아들인 광평대군의 묘역이 자리한 산림이다.
구 관계자는 “서울 근교에 남아 있는 왕가의 묘역 가운데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곳이자 강남의 소중한 역사·문화유산”이라면서 “하지만 공유지와 사유지가 뒤섞여 오랫동안 외부에 개방되지 못한 채 도심 속에 숨은 산림자원으로 남아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지역 주민들은 역사적인 의미가 남다름에도 산림으로 방치됐던 이 곳에 대한 정비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올해 광평대군 탄신 600주년을 맞아 역사적 자원을 미래세대와 함께하는 공간으로 되살리겠다는 목표 아래 적극적으로 토지 소유주들과 협의를 진행했다”면서 “설득 끝에 1만 960㎡에 달하는 사유지를 공원으로 개방하는데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토지 수용이 아닌 협력을 통해 사유지가 개방되면서 104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아낄 수 있었다.
강남구는 공원 조성 사업과 함께 왕북초 통학로 개선도 진행했다. 공원에 인접한 왕북초 통학로는 차량 통행이 많고 인도 폭이 좁아 안전사고 위험이 컸다. 이에 구는 공원과 맞닿은 200m 구간을 정비해 보도와 공원 경계 간 단차를 없애고, 인도 폭을 넓혔다. 또 어두워 사고 위험이 컸던 구간에는 LED 바닥 조명과 라인조명 등 경관 조명을 설치해 밤길 안전성을 확보했다.
조 구청장은 “단순한 숲 개방과 통학로 개선을 넘어 강남의 새로운 생태·문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자연과 안전, 문화와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강남을 만들며 주민과 함께 미래 100년을 준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김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