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169㎞ 탐사 578개 발견
10년간 누적 3만 3129㎞ 조사
내년 장비 3대ㆍ인력 3명 확충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공동을 찾는 지반침하 예방 활동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14년 11월 전국 최초로 GPR 탐사를 도입하고, 이듬해부터 본격적으로 정례 탐사해 왔다.
GPR 탐사를 시작한 후 올해까지 약 10년간 누적 조사 연장은 총 3만 3129㎞에 달한다. 이 기간 발견된 공동은 7760개로 집계됐다. 전체 기간 중 1㎞당 공동 발견율은 약 0.23개 수준이다.
연간 조사 연장은 2015년 614㎞에서 올해 9월 기준 7169㎞로 약 11.7배 늘었다. 1㎞당 발견된 공동 수도 같은 기간 0.41개에서 0.08개로 약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시는 연말까지 9000㎞에 대한 탐사를 완료하고 내년부터는 인력과 장비를 대폭 늘려 연간 1만 8000㎞를 탐사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전문 인력을 현재 7명에서 올해 말까지 10명으로 확충하고, 차량형 GPR 장비 3대를 연말까지 추가 확보해 총 10대로 늘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GPR 탐사 결과와 조치 현황, 공동 위치 등은 ‘서울안전누리’ 내 GPR 탐사 지도를 통해 시민에게 공개한다. 지난달 말부터는 ‘공동 밀집도’ 기능을 새로 도입해 공동이 많이 발생한 지역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임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