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산불 대응역량 강화와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종합 전략 마련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 분석과 문화유산 보호체계 강화 대책 제시
경북도의회 의원연구단체 ‘정책연구위원회’(대표 김대일 의원)는 지난 26일 도의회 다목적실에서 ‘경북도 산불대응체계 개선 및 문화유산 보호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3월 경북 전역을 휩쓴 초대형 산불로 인해 산림뿐 아니라 사찰·고택·국가민속문화재 등 다양한 문화유산이 큰 피해를 입은 데 따른 후속 조치로 추진됐다. 연구진은 산림·소방·문화유산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실효성 있는 보호 및 복원 대책 마련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용역 책임연구원인 권두현 박사는 발표에서 연구 결과를 소방·산림·문화유산 3개 분야로 나누어 제시했다.
【소방 분야】: 산불 대응체계 현황분석 및 문제점 분석 ▲진화 장비 현대화 및 드론 등 첨단 기술 도입 방안 ▲AI 기반 산불 조기 탐지·예측 시스템 구축【산림 분야】▲산불 피해지역 생태계 복원 및 사후 관리체계 개선 ▲기후변화 대응형 산림 조성과 내화성 수종 개발 방안【문화유산 분야】▲문화유산 산불 위험도 평가 및 맞춤형 보호대책 ▲혁신 기술을 활용한 문화유산 보호 시스템 구축 ▲산불 피해 문화유산 복원 및 관리 체계 개선 등을 발표했다.
아울러, 산불 대응과 문화유산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법령·조례 개정 및 ‘문화유산 보호 특별법’ 제정 등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도 함께 제시했다.
이어 “경북의 산악지형과 목조 문화유산 특성에 맞춘 ‘경북형 산불 대응체계’ 구축, 문화유산의 이동·보관 등 전문기술 및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며, 연구결과가 정책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의 협력을 당부했다. 또한 “소방과 문화재 현장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의 아이디어가 실제 대응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북도의회 정책연구위원회는 김대일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용현, 남영숙, 박선하, 이철식, 최덕규 의원 등 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번 현안연구는 오는 12월까지 최종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최종보고회를 통해 경북 산불 대응체계의 실효성 강화와 문화유산 보호정책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