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산’ 옛이름 찾기 나서
김 구청장이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것은 삼각산(三角山·북한산의 옛 이름)명칭 복원 사업이다. 삼각산은 인수봉·백운봉·만경봉 등 세 봉우리가 삼각형으로 나란히 솟아 있어 붙은 이름이다. 조선시대 선조들이 이곳에서 단군제례를 올리는 등 민족사적인 의미도 깊어 2003년 국가 지정문화재(명승 제10호)로 지정됐다.
김 구청장은 “도시화를 거치면서 도시 자체가 삭막해지고 있지만 강북구는 삼각산이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며 “올해 삼각산 축제·국제학술포럼·국제산악문화제·우이령마라톤대회 등을 통해 주민들에게 먹을거리·볼거리·쉴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구청장 역시 매일 아침 2시간정도 삼각산을 오를 정도로 ‘삼각산 사랑’이 뒤지지 않는다.
이와 함께 강북구는 교육 시설이 부족한 점을 감안,2007년 개교를 목표로 올해 삼각산고등학교, 솔샘중학교 건립에 착수한다. 또 구청에 교육지원팀을 올 상반기부터 운영하면서 교육환경개선사업 등을 벌이고, 유치원∼고등학교에 교육경비 보조금을 3억원으로 확대한다.
●우이~신설동 지하경전철 착공
또 올해부터 미아6·7동 뉴타운 개발로 집중되는 인구를 감당하기 위해 우이동∼신설동역 10.7㎞ 구간의 지하경전철 건설이 시작된다. 미아삼거리 일대는 균형발전촉진지구로 지정된 만큼 이 지역에 상업시설을 집중 유치할 계획이다.
김 구청장은 “서울뿐 아니라 의정부 등 경기 북부지역주민들도 서울 도심으로 나가지 않고도 모든 생활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강북구는 2015년까지 지속적으로 수행해야할 10대 전략과제를 채택하기 위한 ‘강북비전 2015’ 연구 용역도 실시하고 있다. 구청장이 바뀔 때마다 구정이 갈팡질팡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구 이미지 개선방안·지역문화·경제 활성화 대책 등의 세부 내용은 이달중 나온다.
김 구청장은 “주민들의 상대적인 박탈감을 완화시켜 떠난 사람도 돌아오고 싶게 만드는 동네를 만들고 싶다.”며 “강북구를 전통·현대가 조화되고, 성장·복지가 균형을 이루며 자연이 살아 숨쉬는 생태 환경 도시로 가꿔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유영기자 carilip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