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래 서울 관악구청장 권한대행(부구청장)은 17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공무원 조직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인사의 객관화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다 하겠다.”고 밝혔다.
박 권한대행은 지난해 5월부터 지방자치법 111조 1항에 따라 구청장 권한이 정지된 김효겸 구청장을 대신해 구청장 업무를 보고 있다. 지난 반년 간 구청장 권한을 대행하며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도 직원들의 노력으로 안정감을 찾아 구정을 본 궤도에 올려놓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주민들의 반응이 긍정적인 데 감사하고 있으며, 구의 장기발전계획이 제 궤도를 찾은 데 보람을 느낀다고 자평했다.
그는 “흔히 ‘공무원 드래프트제’로 불리는 국·실별 보직추천제를 도입하고, 근무평가 점수도 국장회의를 통해 정하게 해 구청장 등 권력자의 전횡을 막을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했다.”면서 “앞으로 예산 절감 노력과 업무성과 등에 따라 파격적으로 평점을 줘 승진시키는 제도를 갖추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새로운 인사 시스템은 국·실장의 통솔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된다.”면서 “그저 ‘말의 성찬’으로만 끝나지 않게 인사규정에 넣어 일하는 조직, 열심히 하면 누구나 불이익을 받지 않고 승진할 수 있는 조직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34년간 서울시에서 일한 박 권한대행은 미국 피츠버그대에서 석사 학위를 받기도 한 행정학 분야의 전문가이다. 특히 미국 보스턴 같은 교육도시들이 지역 명문대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모습을 인상깊게 봐 왔다. 관악구 역시 서울대와 학·관 협력을 통해 세계적인 교육도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박 권한대행의 소신이다.
현재 관악구는 2020년까지 전국 최고의 ‘교육특구’로 변모하기 위한 ‘관악 에듀밸리 2020’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세계적 수준의 과학교육관을 설립하고 교육컨설팅 관련 산업을 육성해 구의 대표 브랜드로 삼겠다는 생각이다.
그는 “4월 영어마을 개관과 수십년간 난제였던 서울대 사범대 제2부속고 건립이 확정된 것도 큰 의의가 있다.”면서 “국내 최고 수준의 교육인프라인 서울대와 함께 협력해 우리 구를 세계적 교육도시로 육성하는 것이 꿈”이라고 설명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