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친환경농업단지는 한곳에서 논밭 농사와 축산을 함께 하는 것으로, 논밭에서 나온 밀대 등 농업 부산물을 가축 사료로 사용하고 축산분뇨는 농작물의 퇴비로 쓰는 선순환 구조의 옛날 농사방식이다.
광역친환경농업단지는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선정하는 것으로 전북 장수, 전남 곡성, 제주 등 모두 7곳이 선정됐고 충남지역에서 선정되기는 처음이다. 단지 조성을 위해 지역마다 100억원씩 지원된다. 충남도에서는 올해부터 2013년까지 1039농가가 참여해 조생종 벼 662㏊, 우리밀 510㏊, 배추 130㏊, 고추 30㏊, 무 15㏊ 등 모두 1176㏊의 농경지를 만든다. 이를 통해 연간 벼 3839t, 우리밀 1530t, 배추 290t, 고추 420t, 무 322t을 생산한다. 축산쪽에서는 364가구가 참여, 해마다 친환경적으로 기른 한우 4700마리와 돼지 5만마리를 출하한다.
도는 분뇨 퇴비화시설을 비롯해 밀저온저장 가공시설, 미생물 배양시설, 교육용 농업현장인 에듀팜 등 친환경 농업기반을 건립할 계획이다. 이곳은 삽교호 수계에 있는 삽교평야로 논밭 및 축산 농업의 적지로 평가된다.
충남도 관계자는 “이곳 농산물과 고기는 친환경 식품회사에 판매되고 일부는 도와 도교육청이 추진하는 무상급식 재료로 제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