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올해부터 연어의 회귀 경로 등을 추적하기 위한 조사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경북 지역에서 방류된 연어에 대한 회귀 경로 등의 조사·연구가 이뤄지기는 처음이다.
도는 2007년부터 연어 치어에 첨단표시장치(DCWT)를 부착한 연어 1만 마리를 방류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모두 5만 마리를 울진 왕피천 등에 방류했다. 연도별로는 2007~2009년 각 1만 마리, 2010년 2만 마리 등이다. 올해는 이 장치를 부착한 연어 2만 마리를 울진 왕피천과 포항 형산강에 각 1만 마리를 방류할 계획이다. 어린 연어의 머리에 부착된 이 장치는 길이 0.5㎜의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에 6개의 아라비아 숫자가 코드화된 칩이다.
도 민물고기연구센터는 2007년, 2008년 방류된 연어 가운데 40~60여 마리가 올해 10~11월쯤 왕피천으로 회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어는 보통 방류된 지 3~4년 동안 북태평양 등지에서 자란 뒤 자신이 태어난 모천(母川)으로 돌아와 산란하는 습성을 지녔고, 회귀율이 0.2~0.3%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2009년엔 2년 전 이 장치를 부착한 연어 가운데 1마리가 성어가 돼 처음 회귀한 것으로 조사됐다.
민물고기연구센터는 이들 연어가 회귀하면 이 장치를 수거·판독해 연어의 정확한 회유 경로와 모천 회귀율 등을 규명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연어의 북태평양 회귀 경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2007년 일본 연어 시험선에 의해 북태평양 베링해 중앙지역까지 회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센터 관계자는 “DCWT 장치 판독을 통해 연어를 어느 하천에서 언제 방류하는 것이 회귀율이 높은 것인지 등에 대한 것도 확인이 가능할 것”이라면서 “이를 토대로 해마다 방류량을 늘려 연어의 정확한 생물학적 정보를 얻고 자원화도 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