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평택 포승·충남 아산 인주지구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 철회를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5일 LH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착수해 최근 완료된 인주 및 포승지구의 택지개발사업계획에 대한 용역 결과, “사업 추진 여건이 좋지 않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내려졌다.
LH가 사업 포기를 선언하면 황해경제자유구역은 사업자가 전무하게 된다. 이 구역은 경기 포승·화성 향남지구와 충남 인주·당진 송악·서산 지곡 등 5개 지구로 이뤄져 있으나 향남·지곡지구는 사업자가 전혀 나서지 않고 있다.
송악지구는 한화가 당진테크노폴리스㈜를 설립해 사업자로 참여했으나 지난해 7월 전격 포기하고 손을 뗀 상태다.
LH는 2009년 12월 인주지구 사업시행자로 결정돼 부지 1303만㎡에 1조 3395억원을 들여 공공·산업·유통시설과 주택 등의 개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또 포승지구 2014만 900 0여㎡에 자동차부품 단지와 3만 4623가구를 수용하는 주거·관광·상업단지를 조성할 예정이었다.
황해경제자유구역은 2025년까지 3단계로 나눠 평택·당진항 주변 55.05㎢를 국제 수준의 첨단기술산업 집적 단지, 대중국 수출 전진기지, 부가가치 물류 육성을 위한 자족도시로 키우기 위해 정부가 2008년 4월 지정했다. 충남도는 최근 재무상태가 좋지 않은 LH의 사업 포기를 염두에 두고 인주지구 대책회의를 열어 새 사업자 선정과 개발 계획 수정 등 여러 가지 문제를 협의했으나 뚜렷한 결론을 얻지 못했다.
충남도 소속 황해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아직 LH로부터 공식 통보를 받은 것은 없다.”면서 “LH가 사업을 포기하면 새 사업자를 물색하겠지만, 여의치 않으면 황해 구역 자체가 백지화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