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부 보고 등 매뉴얼 따르지 않고 소석회 투입
최근 발생한 광주시 수돗물 오염 사고는 정수장 근무자들이 사고 발생 시 대응체계를 규정한 매뉴얼을 지키지 않고 자체 해결하려다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강시장, 사고 6시간 만에 보고받아
14일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이 사고와 관련, 정수장 근무자들이 수소이온농도(pH)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면서 경보가 울렸으나 곧바로 상부에 보고하지 않고 자체 해결하려다 피해를 키운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2일 사고 당시 근무자는 상황실에 2명, 정수 실험실에 2명 등 4명이었다. 수돗물 pH가 기준치 5.8∼8.5 이하인 5.5로 떨어지면서 낮 12시 34분 경보음이 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양모(7급)씨 등 근무자 2명은 떨어진 pH를 중화하기 위해 알칼리제인 소석회를 긴급 투입하는 등 자체 문제 해결에 나섰던 것으로 드러났다.
●상수도 본부장 문책 대기발령
용연정수장 사업소 측은 4시간에 걸쳐 소석회 800여㎏을 투입했으나 pH가 5.2까지 떨어지는 등 상황이 악화되면서 다섯 시간이 지난 오후 6시쯤 이호준 상수도사업본부장에게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본부장은 강운태 시장에게 2시간가량 더 늦은 오후 8시 15분쯤 보고했다. 그러나 오후 3시 44분부터 시민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오후 6시 30분부터 소화전 등에서 물을 빼내는 ‘드레인 작업’을 했다. 근무자들이 조기에 물 빼는 작업에 나섰더라면 오염된 수돗물이 가정에 공급되는 양을 줄였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광주천 물고기 떼죽음 2차 피해
강운태 광주시장은 이와 관련, “수돗물 오염 사태는 총체적인 부실을 드러낸 인재였다.”며 “시민에 심려를 끼쳐 드려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이어 이번 사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 이 본부장을 총무과 대기발령하고 후임에 이병렬 자치행정국장을 임명했다.
지난 12일 오후 1시쯤 광주 동구 용연정수사업소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수동 약품투입 밸브가 열리면서 강산성 응집제가 과다 투입돼 80만여명의 수용가에 먹는 물 기준치를 초과한 수돗물이 공급되는 초유의 사고가 발생했다. 또 물 빼기 과정에서 오염된 물 수만t이 광주천으로 흘러들어 물고기가 떼죽음당하는 2차 피해도 났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