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 “자연재해로만 볼 수 없어”…市, 원인규명 위한 2차 조사 중
유가족들은 서울시에 슬픔과 분노를 표출하며 오열해 참석자들의 눈시울을 붉히게 했다. 아들을 잃은 한 어머니는 아들의 이름이 적힌 위패를 부여잡고 오열한 뒤 한동안 몸을 가누지 못했다. 지난해 이 지역에서는 산사태로 17명이 목숨을 잃었다. 시는 유가족들에게 소방방재청 지급 기준에 따라 사망자가 가구주인 경우 1000만원, 가구원인 경우 500만원을 지급했지만 산사태의 책임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아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9월에는 ‘기록적인 폭우로 불가피하게 발생한 천재지변’이란 조사 결과를 내놓아 논란을 빚기도 했다. 시는 현재 원인 규명을 위한 2차 조사를 하고 있으며 일부 유가족은 시 등을 상대로 총 6건, 52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유가족 대표 임방춘(66)씨는 “보고서는 사건 당시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다고 부각했고 자연재해로만 몰았다.”면서 “이 보고서가 공무원들에게 면죄부를 줬고 진정성이 보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임씨는 또 “재판부도 서울시 손을 들어 줄 가능성이 큰데 시가 변론 자료를 모두 회수하고 2차 조사는 산사태 지역 12곳에서 모두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시장도 침통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굳은 얼굴로 추모사를 통해 “가족을 잃은 슬픔을 어떻게 위로할 수 없지만, 아픔을 기억하고 옆에 누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힘이 될 것 같아 왔다.”면서 “1년 전 오늘의 아픔과 충격은 우리 모두의 것이었다. 시는 이 아픔을 보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위로했다.
유가족들은 시 관계자를 붙들고 생활고를 호소하기도 했다. 함민정(41·여)씨는 김 시의원에게 “산사태로 집이 무너져 오갈 데가 없다.”면서 “전세금을 지원해 달라.”고 촉구했다. 유가족 대표 임씨는 “필요하다면 감사원, 국가권익위원회 등 국가기관, 국회의원과 접촉해 (산사태의) 원인 규명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